AI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5.7개월마다 두 배로 성장하는 기술, 인간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 기술, 선형적으로 반응하는 인간 사회 과학기술의 발전은 늘 인류 문명의 진보를 이끌어 왔지만, 지금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인공지능(AI)의 진화는 그 차원이 다릅니다. AI 기술은 단순한 혁신이 아니라, 속도 자체가 전례 없을 정도로 기하급수적으로 폭증하고 있는 현상입니다. 스탠포드 대학교의 AI 인덱스 보고서(2023년) 에 따르면, 상용 AI 시스템의 성능은 평균 5.7개월마다 두 배씩 향상 되고 있습니다. 이는 곧 AI가 인간의 학습과 성장 속도를 넘어서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022년 말 출시된 챗GPT 는 GPT-4 모델에 이르기까지 불과 1년 만에 응답 정확도, 문맥 이해력, 전문 지식 표현 면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오픈소스 모델들은 초거대 사전학습 언어 모델(LLM)의 경량화에 성공하며, 스마트폰과 개인 노트북에서도 구동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했습니다. 생성형 AI의 시각 분야에서는 미드저니(Midjourney) 와 런웨이(Runway) 가 출시 1년 이내에 실제 영상 및 사진의 경계를 넘나드는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일부 모델은 헐리우드급 시각효과를 단 몇 분 만에 구현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비약에 비해, 인간 사회의 법과 제도, 교육, 윤리 시스템은 여전히 선형적 속도 에 머물러 있습니다. 교육과정 개편에는 수년 이 걸리고, 새로운 법령 제정과 공공 인프라 구축은 더 오랜 시간이 소요 됩니다. 그 사이에 기술은 이미 두세 세대 앞서 나가 있는 셈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전면 시행되기도 전에, 초중등 학생들이 챗GPT를 사용해 과제를 해결하고, 대학 강의에서 AI가 작성한 리포트를 제출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의사결정을 내리는 정치인과 입법자들 중 상당수는 생성형 AI가 무엇인지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괴리는 결국 시민과 제도, 그리고 기술 사이에 큰 간극을 만들어냅니다. AI는 단 1년 만에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그...